가톨릭생명윤리도서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 ‘여성 건강 측면에서 바라본 인공유산(낙태) 현황과 대책’ 심포지엄

관리자 | 2019.04.23 16:15 | 조회 2437

“낙태, 여성의 신체·정신 건강에 심각한 위험 초래”

약물·수술로 인한 ‘임신종결’
이후 임신되는 태아에도 위험
관심 갖고 해결 장치 마련해야



3월 27일 서울 중구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2층 스칸디아홀에서 열린 ‘여성 건강 측면에서 바라본 인공유산(낙태)의 현황과 대책’ 주제 심포지엄에서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성지희 교수가 질의응답·자유토론 시간에 발언하고 있다.

여성의 건강 측면에서 낙태는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같은 주장은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 공공보건의료연구소가 주최한 ‘여성 건강 측면에서 바라본 인공유산(낙태)의 현황과 대책’ 주제 심포지엄에서 나왔다. 심포지엄은 3월 27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2층 스칸디아홀에서 열렸다.

‘유산의 산부인과적 의미’를 주제로 발제한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성지희 교수는 “낙태는 수술이나 약물적 방법으로 ‘의도를 갖고’ 임신을 종결하는 것”이라며 “수술로 낙태할 경우 자궁 천공이나 자궁내막 유착,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성 교수는 “약물로 낙태할 경우에는 구토와 오한, 고열, 떨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성 교수는 낙태한 경험이 있는 여성이 이후 임신을 하게 되면, 낙태하지 않은 여성보다 ‘주산기사망’(perinatal death)이나 ‘조산’(preterm birth), ‘조기 양막 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주산기사망은 임신 28주 이후의 사산과 생후 7일(길게는 28일)까지의 신생아 사망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최안나 센터장(산부인과 전문의)도 질의응답·자유토론 시간에 “약만 먹고 ‘셀프 낙태’가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혀 의학적으로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센터장은 “낙태약은 자궁에 트라우마를 입힐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낙태를 합법화한 나라에서도 최소 두 번 이상은 의사를 만나 상담해야 낙태약을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성준(루카) 교수는 이날 ‘인공유산, 원치 않은 임신 등으로 초래되는 정신의학적 변화’에 대해 발제하면서 “낙태는 여성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낙태 경험만으로도 향후 여러 정신질환이 발생하거나 수치·우울·죄책감·적개심 등 불안정한 정서가 야기될 수 있다”며 “이런 것들이 자살시도 등의 위험성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밝혔다. 때문에 조 교수는 이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과 해결 장치 마련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날 ‘국가별, 지역별 유산에 대한 인식과 대처 방안’에 대해 발제한 법무법인 로고스 배인구(로사) 변호사는 “많은 사람들이 독일에 대해 임신 12주 내에서는 사회경제적인 사유로는 낙태가 가능하다고만 알고 있는데, 그 법의 근간에는 ‘생명인 태아를 절대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었다”며 “그런 기본 원칙 없이 임신 12주까지는 낙태해도 되고, ‘12주+1일’부터는 낙태해선 안 된다고 하면 그 법은 굉장히 맹목적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배 변호사는 “낙태죄 폐지는 상상할 수 없고, 낙태 없는 사회에서 사는 것이 소망”이라며 “여성이 예기치 않게 임신해도 낙태하지 않도록 국가가 시스템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영 기자 lsy@catimes.kr




언론사 : 가톨릭신문
twitter facebook
댓글 (0)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